아덴만 여명작전 현장 전투 실화

“작전 결과, 선원 21명 전원 구조,해적 8명 사살 및 5명 생포, 아군 피해는 없습니다.”대한민국의 명예와 한국인의 자존심을 살린 아덴만의 거북선 최영함,아덴만 여명작전을 승리로 이끈 청해부대 현장지휘관 최영함장 조영주 대령의 전투 실화. 긴박했던 2011년 당시 아덴만 작전 현장을 가다!‘아덴만 여명작전’은 2011년 1월 21일, 대한민국 해군 청해부대가 소말리아 인근 해역에서 해적에게 피랍된 우리 국민들을 성공적으로 구출한 작전이다. 2011년 1월 16일 아덴만에서 호송작전임무를 수행하던 청해부대 소속 최영함에 새로운 명령이 떨어졌다. 해적에 피랍된 삼호주얼리호의 선원들을 구출하라는 명령이다. 청해부대는 전속으로 기동해 삼호주얼리호에 접근하였고, 1월21일 아덴만의 여명이 밝아올 무렵, ‘아덴만 여명작전’이라는 작전명으로 구출작전을 시도하였다. 최영함의 함포와 링스 헬기의 기관총이 굉음을 내며 날아가고 해적들이 혼란에 빠지자 대원들은 고속단정을 타고 삼호주얼리호 진입에 성공하였다. 5시간의 치열한 교전 끝에 청해부대 대원들은 구출 작전을 성공으로 마쳤다. 아덴만 여명작전은 대한민국 국민을 위협하는 세력으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무사히 지켜낸 해군의 역사적 쾌거로 평가받고 있다.본서는 아덴만 여명작전의 현장 전투지휘관이었던 조영주 함장의 회고록으로 2011년 세계 최초 해상인질 구출 작전을 완벽하게 성공한 청해부대의 긴박했던 아덴만 작전 현장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아덴만 여명작전은 하나님께서 우리 대한민국과 국군을 사랑하시는 증거이다. 당시 청해부대는 인질구출 작전에 필요한 전력을 충분히 보유하지 못했다. 고속단정을 이용한 해군 UDT 특수부대 구출작전은 매우 위험하며, 현실적으로 피랍된 선박에 단독으로는 승선 자체가 거의 불가능하였다. 항공모함을 비롯한 많은 전투함과 헬기 등 충분한 전력을 보유하고 있는 선진국 해군들도 구출작전을 감행 할 경우 인질의 안전을 담보하기가 매우 어렵다. 그런데 아덴만 여명작전 당시 단 한명의 사망자 없이 성공적으로 인질을 구출할 수 있었던 것은 기적이었으며, 하나님께서 역사하신 결과이다.
저자소개
저자 : 조영주
해군 예비역 준장 군산고등학교(’82년)에 이어 해군사관학교(’86년)를 졸업하였다. 이후 중위 시절 미 해군 전탐 및 대잠장교 과정 해외군사 유학(’89년)을 시작으로 해군교육사 해상전 고등군사반(’93), 국방대학원 군사전략학 석사(’95, MA), 해군대학 정규과정(’98년) 및 영국 킹스톤 어펀 헐 대학교 국제정치학 박사(’03년, PH.D), 그리고 서울대학교 미래 안보전략기술 최고위과정(’15)을 수료 및 학위 취득하였다.함정 병과 장교로서 고속정, 초계함, 호위함, 군수지원함, 구축함 등과 해군 작전사령부, 해군본부, 합동참모본부, 청와대 국가위기관리센터 등에서 해·육상 주요 지휘관 및 참모를 역임하였다. 특히 2011년 최영함(DDH-981) 함장 겸 청해부대장으로서 아덴만 여명작전, 리비아 우리 국민 구출 작전, 한진텐진호 구출 작전 등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다.2013년 해군 준장으로 진급하여 해군 제1함대사령부 부사령관, 교육사 부사령관, 미5함대사령부/연합해군 사령부 대(對) 해적 연합기동부대(CTF-151) 사령관, 해군전력분석시험평가단장, 그리고 한미연합사 겸 유엔사령부 인사참모부장을 끝으로 2018년 전역하였다. 공로로 충무무공훈장, 미국 대통령 공로 훈장, 대통령부대 표창 등을 수상하였다. 현재는 전역과 동시에 충남대학교 국가안보융합학부 초빙교수로 부임하여 후학을 양성 중이다.[인터넷 교보문고 제공]